트위치 한국 철수 서비스 종료 결정..대체 플랫폼 네이버 치지직 부상 팬들 우려와 기대 동시에 (이적 명단, 가이드라인)

트위치 코리아 철수 한국 섭종 대안 플랫폼 네이버 치지직 급부상
트위치 코리아 철수 한국 섭종 대안 플랫폼 네이버 치지직 급부상

트위치 코리아 철수가 확정됐습니다. 2024년 2월 27일을 끝으로 트위치의 국내 서비스 종료가 결정되면서 트위치 스트리머들뿐만 아니라 팬들까지 매우 큰 허탈감, 상실감 등을 느끼고 있는데요. 트위치 한국 섭종 소식에 방송인들은 아프리카TV를 비롯한 유튜브 라이브 등 타 플랫폼 이적을 해야하는데, 이 가운데 네이버 신규 방송 플랫폼 치지직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미 네이버 이적을 확정지은 듯한 트위치 스트리머들이 생겨나며 치지직이 섭종하는 트위치를 대체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치지직 플랫폼 규제 및 정치권 영향에 대한 시청자들의 우려도 동시에 커지는데요.

트위치 코리아 철수 한국 서비스 종료 확정
트위치 코리아 철수 한국 서비스 종료 확정

 

트위치 코리아 한국 철수 2014년 2월 서비스 종료 확정..이유는 막대한 망 사용료

앞서 트위치 측은 한국 서비스 종료 소식을 알렸습니다. 트위치는 공식 SNS 및 공지 채널을 통해 대한민국에서 섭종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며 원인이 타국에 비해 10배 가까이 높은 통신사의 망 사용료 때문이라고 밝히기도 했는데요. 트위치 CEO인  댄 클랜시는 6일 라이브 방송을 켜 한국 사업 철수를 직접 알렸습니다. 댄 클랜시는 방송을 통해 "한국에서 트위치 사업을 운영하는 비용이 큰 부담이다. 망 이용료가 다른 국가에 비해 10배 정도 높다"며 대한민국 서비스 종료 이유를 밝혔습니다. 실제 트위치가 한국 사업을 위해 연간 내는 망 사용료가 약 800~900억원인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습니다.

비용 문제로 인해 2024년 2월 27일 후 한국에서 트위치 이용이 불가능해집니다. 기존 화질 제한과 다시보기 서비스 폐지 등 비용 절감에 힘 썼던 트위치가 결국 완전한 한국 철수를 결정함에 따라 망 사용료 문제가 완화되지 않는 이상 트위치가 다시 한국에서 서비스를 재개할 가능성은 적어보이는데요.

트위치 CEO 대한민국 사업 철수 발표
트위치 CEO 대한민국 사업 철수 발표

 

트위치 섭종 이후 유명 스트리머들 대거 아프리카, 유튜브, 치지직 등 이적 예상

이에 따라 기존 트위치 스트리머들의 대거 타 플랫폼 이적이 예상됩니다. 침착맨, 노돌리, 명예훈장, 캡틴잭 등 트위치와 유튜브 라이브를 동시 송출하던 인터넷 방송인들도 있지만 동수칸, 서새봄, 수련수련, 스나랑, 양띵, 우정잉, 오킹, 김갑주, 풍월량, 케인, 랄로, 다주 등 인기 트위치 전속 스트리머로서 타 플랫폼에서 라이브 방송을 하지 않았던 스트리머들도 상당합니다.

이들은 트위치가 사라짐에 따라 대체로 아프리카TV, 유튜브 라이브 플랫폼으로 이적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트위치 섭종 소식과 동시에 네이버 치지직 서비스 오픈 소식이 나와 유력 행선지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카론, 인챈트 등 유명 스트리머 MCN 측이 미리 네이버 측과 미팅을 한 것으로 추정되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치지직으로 이적하는 스트리머들도 상당히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효니, 네클릿 등 인챈트 소속 스트리머들은 사실상 네이버 치지직 이적이 확정된 것으로 알려졌고, 스트리머 살구와 호무새, 녹두로도 치지직에서 향후 방송을 진행할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더해 팬들은 인기 스트리머 크루인 양띵 크루와 산악회, 조축회 등 역시 네이버 치지직 이적을 예상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트위치 스트리머 양띵 크루 네이버 치지직 이적 가능성
트위치 스트리머 양띵 크루 네이버 치지직 이적 가능성

 

트위치 대한민국 서비스 종료에 따라 가장 확실한 대안 평가받는 네이버 치지직

치지직은 트위치와 매우 유사한 형태로 네이버에서 준비한 인터넷 생방송 플랫폼이라고 합니다. 트위치처럼 게임 스트리밍에 특화된 플랫폼으로 트위치 시청자들이 많이 유입될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으며, 네이버 카페와 블로그, 이모티콘 등과도 연계해 다채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치지직은 네이버 페이와 연동해 스트리머들에게 더욱 쉽게 후원을 할 수 있게 하고, 좋은 화질에 더해 다시보기 서비스까지 제공해 편의성을 도모할 것으로 보입니다.

네이버 신규 플랫폼 치지직
네이버 신규 플랫폼 치지직

 

네이버 치지직을 향한 기대와 동시에 규제 및 가이드라인 관련한 시청자들 우려도 존재

트위치의 단점 대부분을 없애고 좋은 환경을 구축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네이버 치지직에 대한 스트리머들과 팬들의 긍정적인 반응이 주를 이룹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네이버'라는 특성으로 인해 각종 규제와 제재가 심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일각에서는 치지직 여가부 가이드라인으로 제재 대상이 된다는 루머가 떠돌 정도였습니다.

아직 네이버 치지직 측이 방송 관련 규제에 대한 정확한 정책 내용을 발표한 것은 아니지만, 국내 대기업인 만큼 기존 시청자들은 트위치 스트리머들이 보여주던 가감없는 방송을 규제로 인해 시청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겠냐고 걱정하기도 합니다. 특히 일부 방송을 진행하다 나오는 욕설을 비롯해 트위치에서 활동한 고라니율, 마젠타와 같은 여캠 방송이 어렵지 않겠냐는 '추측'도 나오는데요. 일부 팬들은 "네이버 웹툰 검열만 봐도 걱정이 된다" "네이버라서 트위치에서 문제 생기면 국감장에 나갈 것이고, 그 이후 규제가 더 강화돼 방송 재미가 떨어질 수도 있다"고 우려를 표했습니다.

트위치 섭종 후 네이버 치지직 대안 급부상
트위치 섭종 후 네이버 치지직 대안 급부상

 

네이버 치지직 트위치 스트리머 대거 이동 기대되는 만큼 규제 완화 예상하는 분위기도 있어

그러나 앞서 언급한대로 아직 네이버 측은 치지직 운영 정책 및 방송 규제 가이드라인과 관련된 정확한 입장을 내지 않았습니다. 치지직의 정식 서비스 오픈 후 나오는 서비스 규제 및 정책 내용을 확인해봐야 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다만 이적을 앞두고 있는 다양한 트위치 스트리머들 대다수는 팬들에게 "네이버로 가도 큰 걱정을 안해도 된다"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네이버의 가이드라인이 있지만 인터넷 방송 특성상 조금 더 완화된 정책이 될 것이며, 여캠 방송도 가능하게끔 치지직 규제를 완화할 수도 있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관련해 팬들은 "치지직도 다른 플랫폼과 비슷할 것 같다" "근들갑(호들갑) 안 떨어도 될 것 같다" "치지직 가이드라인 봐도 19금 걸고 하면 지금 다른 방송처럼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네이버 치지직 관련 인방 팬들 반응
네이버 치지직 관련 인방 팬들 반응

 

네이버 치지직 12월 19일 베타 서비스 후 내년 초 정식 서비스 오픈

한편 트위치 서비스 종료 후 대체 플랫폼으로 지목된 네이버 치지직은 오는 12월 19일 베타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현재 네이버 내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치지직은 베타 서비스를 거친 후 2024년 초 정식 서비스를 오픈할 예정입니다.

과연 네이버 치지직이 트위치의 대한민국 철수 섭종에 따라 반사이익을 가장 크게 얻는 서비스가 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저작권자 © 아티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데이터 활용 금지
  • 바로가기0
  • 바로가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아티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