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관세 정책 파장 여전..한국 25%, 중국 104% 관세 부과한 뒤 국제적 혼란 지속될 것으로 보여
트럼프 관세 전쟁 논란에 애플 아이폰 가격 인상 우려..한국이 받는 실질적 영향은 무엇일까

트럼프 미국 대통령 상호 관세 애플 아이폰 영향
트럼프 미국 대통령 상호 관세 애플 아이폰 영향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행정부가 세계 각국에 관세(tariff)를 부과해 이른바 '관세 전쟁'이 발발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한국을 비롯한 중국, 일본, 베트남, 인도 등 대한민국 무역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나라 모두에 영향을 끼쳐 한국이 받는 타격도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요. 특히 국민들은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과 같은 애플 제품의 가격 인상을 우려하고 있는 상황이며 실제 관세 발표 이후 아이폰 사재기 현상까지 발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됐습니다. 이번 트럼프의 결정으로 인해 한국 소비자들이 애플 아이폰 구매에 실질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쏠립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전세계 관세 정책 논란..한국 25%, 중국 104% 관세율 적용

미국 전세계 상호 관세
미국 전세계 상호 관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세계에 부과한 상호 관세 발효가 엄청난 파급 효과를 낳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2025년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해방의 날(Liberation Day)' 연설에서 모든 수입품에 대해 기본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 베트남, 인도 등 약 60개 국가에 대해 추가적인 '상호'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는데요. 한국의 경우 상호 관세 25%를 부과하겠다고 밝혔고, 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등 대한민국 무역과 밀접한 국가들에도 상당한 수준의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그 중 가장 많은 영향이 예상되는 곳은 중국인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기존 20%를 추가해 54% 관세율을 적용했다가, 중국이 보복 관세를 철회하라는 마감 기한을 지키지 않자 추가 50%를 부과했습니다. 이로서 미국이 중국에 매긴 관세율은 무려 104%로 설정된 상태입니다.

트럼프 관세 부과로 가장 관심 모으는 것은 애플 제품..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가격 어떻게 될까

트럼프 관세
트럼프 관세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전반적인 수입품들의 가격 인상이 우려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한국 소비자들은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에어팟 등 애플 제품의 영향에 가장 큰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삼성 갤럭시와 더불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제품이 아이폰인 만큼 트럼프 행정부에 관세 부과 정책에 영향이 없을 수는 없을텐데요.

중국에서 한국 오는 아이폰 관세 영향 없을 것으로 전망..다만 미국 내 영향으로 가격 인상 불가피

관세 애플 아이폰 영향
관세 애플 아이폰 영향

특히 아이폰 전체 생산 비중의 90%가 중국이 차지하고 있는 만큼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한 중국 관세 104%의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이 애플 제품을 중국에서 들여오는 경우가 많아 직접적인 미국의 관세 부과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이번 관세 정책으로 인해 미국으로 들어가는 물품에 관세가 붙으므로, 미국 내 애플 제품의 가격 인상을 불가피해 보입니다.

미국에서만 애플 제품 가격이 오를리는 없기 때문에 전반적인 애플 제품의 가격 인상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당장 올해 출시를 앞둔 아이폰 17 시리즈의 경우에도 인상된 가격으로 출시가 된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요. 업계에서는 아이폰 가격이 최소 10% 이상 오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기도 합니다.

트럼프 관세 폭탄 영향 극심..아이폰 사재기 현상까지 발생

애플 아이폰
애플 아이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일 전세계 상호 관세를 발표한 이후 아이폰 사재기 현상이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당장 지난 5일과 6일 애플스토어 매출이 전년 대비 상승했다는 분석이 나왔는데, 많은 애플 고객들이 가격 인상을 우려해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아이맥 등 제품들을 미리 사뒀을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애플은 최근 주요 생산지인 인도, 중국에서 아이폰을 비롯한 자사 모바일 기기를 가득 실은 항공기 5대를 미국으로 운송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상호 관세 발효 이후에도 수개월 이상 버틸 수 있는 재고를 확보해 당장의 가격 인상을 피하려는 전략으로 읽힙니다.

트럼프 상호 관세 정책 맞은 애플의 대응 전략 및 해결책 있을까

아이폰 17 프로 예상
아이폰 17 프로 예상

애플은 이번 관세 논란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생산 거점을 중국 외 다른 국가로 이전하여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입니다. 인도와 베트남에서의 생산 비중을 늘리고 있지만, 이들 국가도 각각 26%와 46%의 관세를 부과받고 있어 완전한 해결책이 되지는 못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따라서 애플은 미국 내 생산 확대와 같은 추가적인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애플이 아이폰 인도 생산량을 모두 미국으로 보내면 올해 미국 내 아이폰 수요의 절반 가량을 충족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인도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 상호 관세율이 가장 낮은 수준(10%)인 브라질의 아이폰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현재 브라질에서는 중남미 시장 공급용인 보급형 아이폰 위주의 생산이 이뤄지고 있는데, 플래그십 제품의 비중을 늘릴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저작권자 © 아티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데이터 활용 금지
  • 바로가기0
  • 바로가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아티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