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씨소프트 신작 PC 및 모바일 게임 아이온2 출시..서버 혼란 올 정도로 접속 유저 급증해
아이온2 출시일 이후 플레이 후기 및 과금 유도 관련 평가 부정적..엔씨 주가 폭락까지 이어져

아이온2
아이온2

NC소프트(엔씨)의 신작 PC 및 모바일 게임인 아이온2 출시일이 다가와 많은 게임 유저들의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리니지, 블레이드 앤 소울 등 인기가 있지만 과금 유도로 논란이 됐던 엔씨가 아이온2를 출시함으로써 분위기 반등을 노린다는 평가도 많았는데요. 아이온2 출시일 직후부터 서버 문제가 생길 정도로 많은 유저들의 접속과 플레이가 이어졌지만, 정작 플레이를 한 후기 및 과금 유도에 대한 평가는 현재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면서 엔씨소프트 주가 역시 론칭과 동시에 폭락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는데요. 특히 디시 아이온2 갤러리, 인벤 등 커뮤니티에서는 너무 심각한 BM 구조에 분노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NC 소프트 신작 게임 아이온2 출시..출시일부터 동시접속 폭발로 서버 문제까지

아이온2
아이온2

엔씨소프트의 신작 MMORPG '아이온2'의 출시일이 마침내 다가왔습니다. 많은 게이머들의 관심을 모았던 이번 신작 아이온2 게임은 2025년 11월 19일 0시, 한국과 대만에서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는데요. 출시 전부터 아이온2는 국내외 앱스토어에서 인기 순위 1위를 기록하는 등 폭발적인 관심을 모았던 게임인 만큼 론칭과 동시에 많은 유저들의 접속이 이어졌습니다.

서비스 시작과 동시에 대량의 동시 접속이 발생하면서 서버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유저들은 로그인 장애, 서버 대기열은 물론, 모든 서버가 생성 제한에 걸리며 신규 캐릭터 생성조차 불가능해지는 등 혼란스러운 첫날을 겪었습니다. 엔씨 측은 새벽 시간대에 서버 용량 조정 및 접속 제한 완화 조치를 시행하여 오전이 돼서야 정상 접속 환경을 복구했습니다.

아이온2 플레이 후기 및 평가 어떨까..매우 부정적인 리뷰 나오며 엔씨 주가 폭락까지

아이온2 인게임
아이온2 인게임

아이온2는 원작 대비 수동 전투 구조로 변경하고, 비행 및 수중 이동 등 탐험 콘텐츠를 확장하며 긍정적인 콘텐츠 변화를 꾀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출시일인 오늘 많은 유저들이 플레이한 결과, 긍정적인 점보다 부정적인 평가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데요. 실유저들이 활동하는 디시 아이온2 갤러리, 인벤 등 커뮤니티에는 인게임 환경에 대한 호평이 있지만 전반적인 게임에 대한 유저들의 불만이 상당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특히 유저들 사이에서는 그래픽은 상당히 좋고, 자동사냥 중심에서 탈피한 것은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고 있지만 리니지와 상당히 유사한 구조와 더불어 공격 모션이 취약하다는 혹평도 나옵니다. 무엇보다 과금 유도가 극심하다는 부정적 후기가 연이어 나오면서 엔씨소프트 주가는 폭락을 면치 못했는데요. 출시 당일인 19일 오전, 엔씨소프트 주가는 전장보다 13% 이상 급락하여 19만 원 이하로 떨어지기도 했습니다.

아이온2 과금 유도 논란 매우 커져..디시, 인벤 커뮤니티 BM 정책 강한 비판 나와

과금 BM
과금 BM

유저들의 가장 많은 불만을 일으키고 있는 부분은 단연 과금 유도 문제입니다. 이른바 'NC 소프트식 과금 말장난' 논란이 리니지에 이어 아이온2에서도 또 불거진 것인데요. 출시 전에는 리니지와 같은 극심한 과금 유도 BM이 없는 것으로 유저들이 기대했으나 막상 플레이를 하면서는 심각한 과금 유도가 있다는 리뷰가 나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영혼의 서' 논란: 출시 전 게임사 측은 장비 옵션을 좋게 만드는 핵심 아이템인 '영혼의 서'를 유료 재화(큐나)로 판매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출시 후 해당 아이템이 현금 패키지 구성품으로 판매되자, 유저들은 사실상 간접적인 현금 판매이자 명백한 P2W(Pay to Win) 요소라며 분노했습니다.

핵심 콘텐츠 유료화: 유저들의 분노를 키운 것은 '어비스 필드 시간 충전권' 논란입니다. 원작에서 무제한 입장이었던 최종 아이템 파밍처인 '어비스'의 입장 시간을 주 7시간으로 제한하고, 이를 현금(5천원)으로 충전하도록 설계했습니다. 이는 '어비스' 없이는 사실상 게임 진행이 불가능한 구조이기에 디시 갤러리, 인벤 등 커뮤니티에서는 '개고기 과금 상황'이라는 격한 비판이 나왔습니다.

반복되는 과금: 이 외에도 던전 입장 횟수를 늘리는 아이템, 전투 도핑 주문서, 던전 드랍 확장권, 정령탄 업그레이드 버전 등 스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유료 패키지 및 멤버십(월정액)에 다수 포함되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저작권자 © 아티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데이터 활용 금지
  • 바로가기0
  • 바로가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아티브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