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의성, 영양, 영덕, 안동, 청송 등 지역 산불로 피해 극심해..의성 산불 원인 알고보니 성묘객 인한 화재로 알려져
경북 산불로 사망자 9명인 것으로 확인돼..화재로 인해 청송, 안동교도소 수감자들 이감할 정도로 심각

경상북도 의성을 비롯한 영양, 영덕, 안동, 청송 등 지역에 심각한 산불이 발생해 피해 규모가 상당히 심각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경북 의성 산불로 시작됐지만 상당히 많은 지역에 화재가 발생해 시민들의 우려가 커진 현재, 산불 원인이 성묘객이 불을 지핀 것이 이유가 된 것으로 확인됐는데요. 일부 사람들의 실수로 인해 막심한 재산 피해와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것입니다. 의성 산불로 인한 사망자는 현재까지 9명으로 확인됐으며, 더욱 심각하게도 인근 청송교도소와 안동교도소 수감자들 수천명이 이감되는 사태까지 벌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경북 의성 산불 확산되며 영양, 안동, 청송, 영덩, 울진까지 번져..특별재난지역 선포되기도

3월 22일 경북 의성에서 시작돼 25일까지 영양, 안동, 청송, 영덕, 울진까지 확산되고 있는 이번 산불 화재에 대한 심각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30건 이상의 산불 신고가 접수될 정도로 화재 피해가 극심해지고 있는 와중 경상북도 지역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될 정도로 매우 위중한 상태로 알려졌는데요. 무엇보다 3월 25일부터는 강풍 특보가 전국적으로 발효되면서 진화된 줄 알았던 화재가 다시 발생하거나, 산불 확산 속도가 급격히 빨라져 진화 작업에 소방 당국이 애를 먹고 있는 상황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경북 의성 화재로 천년고도 고운사 전소된 것으로 확인..인명 피해도 심각하며 현재까지 사망자 9명

현재 경북 산불로 인한 인명과 재산 피해도 큽니다. 산 인근 주택들과 농가 피해도 심할 뿐만 아니라 천년고도 고운사는 전소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고운사가 완전히 화마에 다 타버렸을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 사망자만 9명 발견됐습니다. 다만 산불 진화가 아직 다 끝난 것이 아니기에 추가 인명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국민적 우려가 상당한데요. 사망자는 청송군에서 1명, 안동시에서 1명, 영덕군에서 3명, 영양군에서 4명 발견됐습니다. 특히 청송군에서 발견된 한 여성은 불에 탄 상태로 시민에 의해 발견됐다는 소식이 전해져 안타까움을 키웠습니다.
경북 산불 원인 알고보니 성묘객 실화로 밝혀져..범인 추후 조사 예정

비극이 되고 있는 이번 경북 의성 산불 원인은 자연 발화가 아닌 성묘객이 불을 지핀 것에 의한 참사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22일 의성군 안평면 괴산1리에서 시작된 대형 화재의 실화자로 추정되는 성묘객은 산불이 난 직후 산을 도망쳐 나오다가 괴산1리 이장에 의해 발견된 것이 확인됐습니다.
화재 발생 후 이장 A 씨는 산 아래로 헐레벌떡 내려오는 한 남성과 그의 딸을 발견했다고 하는데요. "왜 불을 냈느냐"라는 A 씨의 물음에도 성묘객 범인은 아무 대꾸도 하지 않고 산을 내려왔다고 합니다. 그때 A 씨는 범인이 산불 현장을 그대로 도망칠까봐 자신의 휴대폰으로 차량 번호판을 촬영했다고 합니다. 아울러 범인 성묘객이 다녀간 묘지 주변에서 라이터와 소주병 뚜껑이 발견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경찰은 이들 성묘객을 상대로 기초 사실관계를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의성군도 산불진화 작업이 마무리되는 대로 이 성묘객을 상대로 정확한 실화 경위 등을 조사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의성 산불로 청송교도소, 안동교도소 재소자 이송 결정될 정도로 상황 심각해

의성 산불 사태가 심각해지면서 인근 청송 교도소(현 경북북부교도소), 안동교도소 역시 사태가 심각해졌습니다. 교도소 인근까지 산불이 번졌다고 하는데요. 현재 교도소 상황이 삼각한 이유는 교정당국에서 상당히 많은 수의 수감자들을 타지역으로 이송 결정을 할 정도이기 때문입니다.
산불이 청송지역으로 확대되면서 법무부는 경북북부교도소(청송교도소) 재소자들에 대한 긴급 이감을 결정했다고 하는데요. 교정 당국은 안동교도소 800여 명과 청송교도소 4개 기관 2,700여명 등 총 3,500여 명의 수용자를 대구지방교정청 산하 기관 13개 수감시설로 나눠 이송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경북북부교도소는 경북북부제1교도소, 경북북부제2교도소, 경북북부제3교도소, 경북직업훈련교도소로 이뤄져 있습니다.
- 바로가기0
- 바로가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