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서울의 봄 정해인 연기한 오진호 모티브된 김오랑 소령과 가족이 전두환 노태우 하나회에게 당했던 가슴 아픈 수모 (박종규)

김성수 감독의 신작 영화이자 황정민 정우성 주연의 작품 '서울의 봄'이 개봉한 후 관객 몰이를 하고 있습니다. 초호화 배우들이 총출동하는 만큼 서울의 봄 영화를 향한 관심도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지금, 영화 속에서 오진호 소령으로 특별 출연한 배우 정해인과 캐릭터 모티브가 된 실제 인물 '참군인' 김오랑 소령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습니다. 정해인이 연기한 김오랑 소령은 영화 속 모습 이상으로 결연한 군인이었지만 전두환 신군부가 실권을 잡고 김 소령과 가족들이 모진 수모를 당한 것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습니다.

영화 서울의 봄 줄거리 전두환 노태우 하나회 세력 군권 찬탈 과정 구체적으로 그려
영화 서울의 봄 줄거리는 실제 1979년 12월 12일 군사 쿠데타 당시 전두환, 노태우 주도의 하나회 패거리가 군권을 장악해가는 이야기를 그렸습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김재규가 쏜 총에 맞아 사망한 10.26 사태 직후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이 권력욕을 드러내며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강제 체포하고, 하나회 인맥을 동원해 군을 장악해가는 구체적인 과정을 고스란히 그린 최초의 영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서울의 봄 12.12 군사 쿠데타 과정과 결과 모두 보여줘..극 중 배우들의 실감나는 열연 화제
영화 서울의 봄은 한국 현대사의 '흑역사'인 전두환의 12.12 군사 반란을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는데다가, 결국 반란에 성공하는 역사적 진실이 있기 때문에 "보기 힘들다" "전두환은 영화에서도 보기가 싫다"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는데요. 그래도 악질적인 하나회 쿠데타 일당에 맞서는 '참군인'도 많이 등장해 관객들에게 용기와 위로를 주기도 합니다.
서울의 봄 영화 출연진 배우들의 열연 역시 영화가 좋은 평점과 평가를 받는 주된 요인 중 하나인데요. 전두광을 연기한 황정민은 '인생 연기'를 펼쳤다는 평가를 받으며 전두환의 악한 모습을 100% 보여줬고, 정우성 역시 수도경비사령관으로서 전두환 쿠데타를 막으려고 했던 이태신 장군(실제 인물 장태완 소장)의 군인다운 멋진 모습을 극 중에서 잘 보여줬습니다.
그밖에도 배우 이성민(정승화 육군참모총장, 극 중 이름 정상호), 박해준(노태우, 극 중 이름 노태건), 김성균(김진기 준장, 극 중 이름 김준엽), 김의성(노재현 국방장관, 극 중 이름 오국상) 등 명품 배우들도 조연으로 출연했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겼는데요.

서울의 봄 특별출연 배우 정해인, 실제 인물 김오랑 소령 연기해 강렬한 인상 남겨
영화 서울의 봄에서 관객들을 깜짝 놀라게 한 배우는 바로 정해인입니다. 정해인은 특별출연으로 이번 작품에 참여했는데요. 특별 출연으로 많은 분량이 나오지는 않지만 정해인의 모습에 가장 감명받았다는 관객들도 적지 않은 것을 보면 그의 연기력은 이번 작품에서도 빛났습니다. 서울의 봄 정해인 역할은 오진호 소령입니다. 실제 인물 김오랑 소령을 모티브로 한 인물로, 극 중에서 공수혁 육군특수전사령관(정만식 분)을 보좌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공수혁은 실존 인물 정병주 소장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입니다.
정해인이 연기한 오진호 소령은 끝까지 반란군에 맞서다가 사망하는 인물입니다. 실존 인물인 김오랑 소령 역시 정병주 소장의 비서실장으로서 끝까지 반란군 진압 임무를 수행했던 참군인입니다. 결국 극 중에서나 현실에서나 정해인이 연기한 김오랑 소령은 절친했지만 하나회에 합류하며 자신을 배신한 선배 박종규 중령의 총에 맞아 숨진 인물입니다.

김오랑 소령 전사 직전까지 군사 반란군에 맞섰던 '참군인'..하지만 하나회에게 사후 끔찍한 수모 당하기도
실제 김오랑 소령의 결연함은 극 중 정해인의 오진호 소령의 모습에서도 잘 묻어납니다. 극 중 오진호 소령은 정상호(정병주 모티브) 특전사령관을 체포하러 특전사령관실로 침입한 하나회에 맞서 정 사령관을 곁에서 지킨 유일한 부하였습니다. 끝까지 자신의 상관을 경호하고 반란군에 맞서다가 전사한 김오랑 소령의 숭고함이 영화 속에서도 잘 표현됐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실존 인물인 김 소령은 하나회의 회유가 있었음에도 이를 거절하고 정병주 소장을 호위하기로 했던 인물입니다.
하지만 전두환, 노태우 등 하나회는 김오랑 소령이 사망한 후에도 모욕적인 일을 저질렀습니다. 박종규의 총격에 김오랑 소령이 사망하자 하나회는 시신을 특전사령부 뒷산에 암매장했습니다. 국가를 지금까지 수호하고 반란군에 맞섰던 군인이었지만, 자신들의 정권 찬탈을 방해했다는 이유로 매우 끔찍한 수모를 겪게 한 것입니다.
그러자 다른 동료 장교들의 항의가 이어졌고 김오랑 소령 시신은 결국 1980년 2월 국립서울현충원으로 이장됐습니다. 이후 1990년 국가는 그를 중령으로 추서했고, 지난해에는 그의 사망이 '전사'로 판정되기도 했습니다.

김오랑 중령 가족들의 비극 재조명..아내였던 백영옥 여사는 갑작스러운 실족사
어느 정도 김오랑 소령의 명예가 사후 회복됐다고 볼 수는 있지만 전두환 하나회 신군부 패거리가 실권을 잡은 후 실제 김 소령 가족들 역시 비극을 맞이했습니다. 김오랑 소령은 1979년 12월 13일 전사했고, 그의 사망 소식을 들은 양친은 결국 홧병으로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무엇보다 김오랑 소령의 아내였던 백영옥 여사는 남편이 반란군에 의해 살해됐다는 이야기를 듣고 완전 실명되는 끔찍한 일을 겪어야 했는데, 이에 굴하지 않고 김오랑 소령에게 총을 쏜 선배 박종규에게 전화를 걸어 따지기도 했던 인물이었습니다. 박종규와 김오랑은 실제 절친했던 선후배로, 백 여사 역시 박종규를 여러차례 만나며 안면이 튼 사이였습니다.
백 여사는 남편 사망 후 홀로 매달 30만원씩 나오는 연금으로 생계를 이어갔고, 노태우 정권이었던 1990년에는 하나회 전두환, 노태우, 박종규, 최세창 등에게 소송을 제기하려고 했으나 알 수 없는 이유로 소송이 진행되지 않기도 했습니다.
그러던 1991년 백 여사는 부산 자비원 마당에서 사망한 채 발견됐습니다. 당시 노태우 정권은 실족사로 수사를 마무리했으나 백 여사의 유족들은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습니다. 백 여사는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였지만 남편과 합장되지 못했다고 합니다.

김오랑 소령 절친이었지만 배신했던 하나회 박종규의 최후도 관심
김오랑 소령을 배신한 박종규는 전두환, 노태우 정권을 거치며 소장까지 진급했습니다. 그러나 김영삼 전 대통령이 정권을 잡고 하나회 숙청에 들어가며 강제 예편 당했습니다. 박종규는 이후 2010년 12월 7일 식도암으로 사망했습니다. 사망 1년 전인 2009년 12월 그는 김오랑기념사업회에 직접 전화를 걸어 "병에 걸린 것은 하늘이 나에게 내린 벌"이라고 말하며 용서를 구하기도 했습니다.
- 바로가기0
- 바로가기
